지금부터 살자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지금부터 살자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0)
    • 궁금한 심리용어 (10)
    • 세상이 보이는 경제용어 (10)
    • 돈이 보이는 금융경제용어 (10)

검색 레이어

지금부터 살자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금융거래때 무슨 돈으로 거래 할까? 기축통화(key currency)를 알아보자

    2020.04.28 by 지금부터살자

  • 금리로는 더이상은 안돼 그렇다면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를...

    2020.04.27 by 지금부터살자

  • 난 남들과 달라서 차별하된것을 살거야! 백로효과(Snob effect)

    2020.04.26 by 지금부터살자

  • 나만 소외된것 같나요? 포모증후군(FOMO Syndrome)일수도 있습니다

    2020.04.25 by 지금부터살자

  • 테니스 용어가 아닙니다 윔블던 효과(Wimbledon effect)

    2020.04.24 by 지금부터살자

  • 일어날 확률은 낮지만 일어나면 큰일나! 블랙스완(Black Swan)을 아시나요?

    2020.04.23 by 지금부터살자

  • 낙수효과( Trickle-down effect)를 아시나요?

    2020.04.22 by 지금부터살자

  • 상위20%가 전체의 80%를 결정한다. 파레토 법칙(Pareto’s Law)

    2020.04.21 by 지금부터살자

금융거래때 무슨 돈으로 거래 할까? 기축통화(key currency)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 저는 굉장히 회사에서 여유가 있어서 책을 읽었습니다. 제가 생각해도 회사에서 독서는 쉽지 않지만 일도 없고 그런 거에 대해서 딱히 지적이 없기에 읽었습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오늘 알아볼 돈이 되는 금융경제용어는 기축통화입니다. 기축통화란 단어를 들어보신분도 있을 테고 들어 봤지만 자세한 건 모르시는 분들도 있으실 텐데 저랑 차근차근 알아보도록해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기축(基軸)이란 무엇인가?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어떤 활동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러므로 기축통화에서 기축은 간단히 중심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통화(通貨)란 무엇인가? 사실 통화라고 하면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지폐나 동전을 많이 생각하실 겁니다 하지만 요즘은 아시다시피 수표나 신용카드 은행 예금 예수금..

돈이 보이는 금융경제용어 2020. 4. 28. 23:23

금리로는 더이상은 안돼 그렇다면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를...

안녕하세요 오늘은 새로운 콘텐츠를 가지고 왔습니다 새로운 주제는 바로 돈이 보이는 금융경제용어입니다. 여러분들 돈 좋아하시나요? 저는 돈을 좋아하는데요... 살아가다 보니깐 돈이 중요하더라고요 ㅎㅎ 그래서 준비한 콘텐츠입니다. 그 시작을 알리는 첫번째 용어는 양적완화입니다. 요즘 많이 나오는 주제인만큼 집중하여 보시기를 바랍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란 무엇인가? 양적완화란 기준금리가 이미 너무 낮아서 금리 인하를 통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때 중앙은행에서 다양한 자산을 사들여서 시중에 직접 통화공급을 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중앙은행은 돈을 발권할수 있는 발권력이 있기에 중앙은행이 회사채 국채 등을 직접 사들이는 것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돈을 ..

돈이 보이는 금융경제용어 2020. 4. 27. 23:13

난 남들과 달라서 차별하된것을 살거야! 백로효과(Snob effect)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늘은 일요일에 밤입니다. 내일이면 다시 일상으로 돌아서 출근... 해야 하는데 벌써부터 힘이 빠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하지만 다음 주에는 수요일까지만 일하면 며칠 동안 쉴 수 있으니 정말 기분이 너무 좋네요 여러분들도 조금만 참으시면 되니깐 조금만 힘내세요! 그러면 오늘 알아볼 경제용어는 백로효과 입니다. 백로 효과(snob effect)는 무엇인가? 백로 효과는 미시경제학에서 고소득층의 개인에 의한 일정한 재화에 대한 요구가 저소득층의 수요와 반비례하는 상황으로 묘사되는 현상이다. "snob 효과"는 일반 상품의 전형적인 부정 기울기 수요 곡선보다는 수요 곡선이 양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다른 미시경제 모델과 대비됩니다. 이 상황은 드물고 비싸거나 독특한 ..

세상이 보이는 경제용어 2020. 4. 26. 22:26

나만 소외된것 같나요? 포모증후군(FOMO Syndrome)일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드디어 제가 기다리던 토요일이 되었습니다. 여러분들도 많이 기다리셨죠? 직장인이라면 누구라도 기다리는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이제 오늘 배울 알수록 돈이 되는 경제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포모 증후군(fomo syndrome)입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포모(FOMO)는 무엇일까? 포모는 ‘Fear Of Missing Out’의 약자입니다 뜻은 좋은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은 마음이라는 뜻입니다. 포모 증후군(FOMO SYNDROME)은 무엇일까? 실종에 대한 두려움(FOMO)은 "남들이 자신이 없는 곳에서 보람 있는 경험을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팽배하다"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사회적 불안은 "남들이 하고 있는 일과 지속적으로 연결되고자 하는 욕망"으로 특징지어..

세상이 보이는 경제용어 2020. 4. 25. 22:10

테니스 용어가 아닙니다 윔블던 효과(Wimbledon effect)

안녕하세요 오늘도 돈이 되는 경제 용어로 돌아왔습니다 그전에 오늘은 여러분들과 제게 기다리던 금요일 밤입니다. 저는 너무나도 기쁩니다 이틀간에 주말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고민 중입니다 일단 포스팅을 다하고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여러분들도 알찬 주말 보내시길 기원할게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윔블던(Wimbledon)이란 무엇인가? 세계 최고의 역사를 지닌 테니스대회로 ‘전영오픈(British Open) 테니스선수권 대회’라고도 한다. 정식 명칭은 Lawn Tennis Championship on Grass로, 프랑스오픈·호주오픈· US오픈과 함께 테니스 그랜드슬램 경기 중의 하나이다. 네 맞습니다 여러분들의 생각대로 윔블던은 테니스 대회의 명칭입니다. 윔블던의 역사를 간단히 알아보자면 1877년 영국의 헨..

세상이 보이는 경제용어 2020. 4. 24. 22:12

일어날 확률은 낮지만 일어나면 큰일나! 블랙스완(Black Swan)을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은 목요일 밤 하루만 더 버티면 금요일이 끝나고 주말이 기다리고 있으니 조금만 더 힘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오늘은 부산시장 오거돈 시장이 성추행 사건으로 사퇴를 하였다고 합니다. 높으신 자리에 있으신 분의 행동이 아쉽네요 그럼 이제 본론으로 돌아와서 블랙스완의 뜻과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완(swan)은 무엇은가? 블랙은 모두가 아시다시피 검은색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스완은 백조를 의미합니다. 블랙스완(black swan)은 무엇인가? 여러분들은 WTI(미국 텍사스산 원유) 가격이 사상 첫 마이너스가 될 거란 걸 혹시 예상하셨나요? 전혀 예상하지 못하셨죠? 하지만 이러한 일은 실제로 발생되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블랙스완입니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블랙스완(black s..

세상이 보이는 경제용어 2020. 4. 23. 21:17

낙수효과( Trickle-down effect)를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여러분들 오늘 하루는 어떠셨나요? 저는 요즘 코로나 19 때문에 일거리가 많이 줄어들어서 오늘은 거의 일을 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ㅎㅎ.. 좋아해야 하는 건지 슬퍼 해야 하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일단은 즐기고 있습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혹시 낙수효과를 들어보셨나요? 어제 포스팅한 샤워효과가 비슷한 한 듯 하지만 다른 말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낙수효과를 알아보겠습니다. 낙수(落水)란 무엇인가? 한자어로 표기하면 落水 이렇게 됩니다 그러면 뜻은 무엇일까요? 다들 아시다시피 여러가지 뜻이 있을 수도 있지만 여기서의 뜻은 처마 끝 따위에서 빗물이나 눈 또는 고드름이 녹은 물이 떨어짐. 또는 그 물.이라고 합니다 다들 짐작하셨죠 ㅎㅎ 그리고 영어로는 trickle-down인데 여기서 tri..

세상이 보이는 경제용어 2020. 4. 22. 22:39

상위20%가 전체의 80%를 결정한다. 파레토 법칙(Pareto’s Law)

안녕하세요 오늘도 여전히 날씨가 하루 종일 쌀쌀하고 바람도 많이 불더라고요 여러분들도 건강에 유념하시기를 바라며 오늘 알아볼 알수록 돈이 되는 경제용어는 파레토의 법칙입니다 흔히 8대 2라고 하는데 지금부터 누구라도 알아듣기 쉽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파레토(Pareto)는 누구인가? 1848년 7월 15일~1923년 8월 19일 파레토는 사람의 이름 입니다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였습니다. 파리에서 태어나 이탈리아에서 교육을 받은 그는 20여 년 동안 엔지니어와 철도회사 관리자로 일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유산을 물려받은 다음부터는 왈라스의 새로운 수학적 경제학 공부에 몰두하여 1893년에 왈라스의 의지를 계승하여 정치경제학 교수가 되었습니다. 그는 특히 소득분배 연구와 개인..

세상이 보이는 경제용어 2020. 4. 21. 22:3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지금부터 살자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